본문 바로가기

독서/경제

경제금융용어 700선 016. 갑기금(Capital A)

반응형

 

갑기금(Capital A)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대차대조표상 자본금계정으로 ①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설치 및 영업행위를 위하여 본점이 한국은행 등에 외화자금을 매각하여 해당 지점에 공급한 원화 자금 ② 해당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적립금에서 전입하는 자금 ③ 외국은행 국내지점을 추가로 설치하기 위하여 이미 국내에 설치된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이월이익잉여금에서 전입하는 자금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갑기금은 금융위원회로부터 인정받은 금액에 한하여 지점별로 관리하되 각 외은지점의 갑기금은 30억원 이상이어야 한다.(「은행법 시행령」 제26조, 「은행업 감독규정」 제11조)

연관검색어 : 을기금(Capital B)

 

출처: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교육 발간자료(상세) | 경제교육 | 업무별 정보 | 뉴스/자료 | 한국은행

  *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에 발간된 8쇄와 9쇄는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은 다음의 경로에서 e-book 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

www.bok.or.kr

 

갑기금을 간단히 말하자면

국내에 소재하는 외국은행의 국내지점이 외국 본점으로부터 들여오는 영업 기금을 말한다.

외국은행이 한국은행에 영업하려면 돈이 필요하다. 

해외 본점에서 돈을 가져오거나, 한국 지점에서 남은 이익금으로 하거나, 한국은행에 외화자금을 매각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갑기금을 늘리면 은행 영업의 활성화와 자본 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자본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을 높여 좋은 평가를 받고 

긍정적인 평가는 곧 사업 확장과 수익의 건정성으로 은행의 수익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한걸음 더!

◈ 을기금 이란?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동일인 및 동일계열 기업군 여신 한도 등 은행법상의 영업규제와 관련하여 자기자본을 확대해 줌으로써 여신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명목상의 자본금으로 대차대조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대차대조표상 자본 총계의 200%를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을기금을 간단히 말하자면 여신 즉 돈 빌려주는 기능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자본을 확대해 주는 방법이다. 

 

https://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560

 

외국계 은행들, 갑기금 증액 러시 - 대한금융신문

외국계 은행들이 올해 들어 갑기금(자본금 성격의 영업기금) 규모를 늘리고 있다.수익성과 자본 건전성 측면에서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7일 중

www.kbanker.co.kr

 

갑기금, 을기금 어려운 용어에 대하여 오늘 공부하면서 조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도 한걸음 성장함을 응원해 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