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경제

경제금융용어 700선 031. 경영실태평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

반응형

 

경영실태평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
입점 검사 시 금융기관의 경영실태 전반을 점검・평가하는 제도이다. 경영상태를 부문별로 일정한 방식에 의거 등급 평가하고 이를 다시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금융기관 경영상의 취약부문을 식별하여 적절한 시정방안을 제시함과 아울러 등급평가 결과에 따라 감독・검사 업무를 차등화함으로써 금융기관의 책임경영체제를 확립하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평가방식으로는 CAMEL-R, ROCA 및 CACREL 시스템이 있는바, 은행 본점 및 현지법인에 대해서는 CAMEL-R 시스템, 외은지점 및 국내은행 국외지점에 대해서는 ROCA 시스템, 특수은행에 대해서는 CACREL 시스템으로 평가한다. CAMEL-R방식은 경영평가부문을 자본 적정성(C), 자산 건전성(A), 경영관리의 적정성(M), 수익성(E), 유동성(L), 리스크 관리(R) 등 6개 부문으로, ROCA방식은 리스크관리(R), 경영관리 및 내부통제(O), 법규준수(C), 자산 건전성(A) 등 4개 부문으로 구분・평가한다. 특수은행에 대한 경영실태평가는 일반은행의 경영관리의 적정성(M)과 리스크 관리(R)를 법규준수(C)와 위험관리(R)로 대체하여 CACREL방식으로 평가한다 .

연관검색어 : CAMEL-R시스템/ROCA시스템/CACREL 시스템

 

출처: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교육 발간자료(상세) | 경제교육 | 업무별 정보 | 뉴스/자료 | 한국은행

  *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에 발간된 8쇄와 9쇄는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은 다음의 경로에서 e-book 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

www.bok.or.kr

 

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란?

은행의 경영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은행의 안정성과 건전성을 판단하는 제도.

이 제도는 한국의 금융감독원(FSS)에서 운영하며, 은행이 얼마나 잘 운영되고 있는지, 리스크 관리가 적절한지,

재무 상태가 건전한지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1. 무엇을 평가하나?
    • 자본 적정성: 은행이 충분한 자본을 가지고 있는지.
    • 자산 건전성: 대출이나 투자 자산이 얼마나 안전한지.
    • 수익성: 은행이 수익을 잘 내고 있는지.
    • 유동성: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현금을 얼마나 빨리 마련할 수 있는지.
    • 리스크 관리 능력: 각종 위험을 잘 관리하고 있는지.
  2. 평가 방식은?
    • 이 제도는 은행의 여러 지표를 바탕으로 점수를 매기고, 그 점수를 등급으로 나눈다.
    • 등급은 1등급부터 5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이 가장 좋고 5등급이 가장 낮다.
      • 1등급: 매우 우수한 경영 상태.
      • 5등급: 심각한 문제를 가진 상태로, 금융당국의 특별 관리가 필요.
  3. 왜 중요할까?
    • 은행의 건전성을 유지하는 것은 금융 시스템의 안정에 매우 중요하다.
    • 만약 은행이 잘못 운영되면, 고객들의 예금이 위험해지거나 금융시장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 따라서 이 평가 제도를 통해 금융당국이 문제 은행을 조기에 발견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 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는 은행이 잘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빨리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제도이다.

 

 

관련기사

https://www.fi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109

 

[기획] 부동산 PF 대규모 부실...위기의 저축은행

[현대경제신문 팽정은 기자] 금융당국은 지난 5월 사업성 평가 기준을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 우려)로 세분화한 뒤 금융사들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을 재평가하도록 했다

www.finom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