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경제

경제금융용어 700선 029. 경기종합지수

반응형

 

경기종합지수
산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등 개별 경제지표들은 경제활동의 한 측면만을 반영하고 있어 나라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개별 경제지표들을 가공・합성하여 경기종합지수(CI; Composite Index)를 작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경기종합지수는 각 부문별로 경기를 잘 나타내는 경제지표들을 선정한 다음 계절 및 불규칙 요인의 제거, 진폭의 표준화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친 후 합산하여 하나의 지수로 만든 것이다. 경기종합지수는 지수의 변동 방향으로 경기변동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고, 지수의 변동 폭으로 경기변동의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경기흐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한편, 경기종합지수는 경기에 대한 선・후행 관계에 따라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로 구분한다. 선행종합지수는 비교적 가까운 장래의 경기 동향을 예측하는 데 활용되며, 동행종합지수는 현재의 경기상태를 판단하는데 이용되고, 후행종합지수는 경기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

연관검색어 :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

 

출처: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교육 발간자료(상세) | 경제교육 | 업무별 정보 | 뉴스/자료 | 한국은행

  *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에 발간된 8쇄와 9쇄는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은 다음의 경로에서 e-book 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

www.bok.or.kr

 

경기종합지수

경제의 전체적인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지표이다.

여러 경제 활동을 종합하여 계산되며, 현재 경제가 얼마나 잘 돌아가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주요 특징:

  1. 구성 요소:
    • 경기종합지수는 생산, 소비, 투자, 고용 등 여러 경제 지표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경제 활동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므로,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2. 해석 방법:
    • 지수가 100 이상이면 경제가 호황에 있다는 의미이다. 즉, 경제가 좋고 성장하고 있다는 신호이다.
    • 지수가 100 이하이면 경제가 불황에 있다는 의미로, 경제가 침체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3. 용도:
    • 정부와 기업, 투자자들은 경기종합지수를 통해 경제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필요한 정책이나 투자를 결정하는 데 활용한다.
 

 

경기종합지수는 경기에 대하나 선,후행 관계에 따라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로 구분한다. 

1. 경기 선행종합지수 (Leading Composite Index)

  • 정의: 미래의 경제 활동을 예측하는 지표이다.
  • 특징: 선행지수는 경제가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를 알려주는 다양한 경제 지표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 시장 지수, 신규 주문, 소비자 신뢰 지수 등이 포함된다.
  • 용도: 선행종합지수는 경제가 호황으로 갈 것인지, 불황으로 갈 것인지를 미리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2. 동행종합지수 (Coincident Composite Index)

  • 정의: 현재의 경제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 특징: 동행지수는 산업 생산, 소매 판매, 고용률 등 현재의 경제 활동을 반영하는 지표로 구성된다. 즉, 지금 경제가 얼마나 잘 돌아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 용도: 동행종합지수는 현재 경제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3. 후행종합지수 (Lagging Composite Index)

  • 정의: 과거의 경제 활동을 반영하는 지표이다.
  • 특징: 후행지수는 경제가 변화한 후에 나타나는 지표로, 실업률, 기업의 자금 조달 상황, 소비자 물가 등이 포함된다.
  • 용도: 후행종합지수는 경제 변화의 결과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즉, 경기가 이미 변한 후 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요약:

  • 선행종합지수: 미래의 경제 상황을 예측하는 지표.
  • 동행종합지수: 현재의 경제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
  • 후행종합지수: 과거의 경제 변화를 반영하는 지표.

이 세 가지 지수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경제의 전반적인 흐름과 방향을 이해할 수 있다.

 

관련기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378406639019136&mediaCodeNo=257&OutLnkChk=Y

 

"진짜 안좋았네"…코로나 수준으로 나빠진 中企 경기

1992년부터 인천 검단산업단지 등에서 의류 부자재와 핸드백 등 각종 액세서리, 볼펜 도금 사업 등을 하고 있는 A사의 이모 대표는 요새 너무 힘들다. 상반기 수주가 급감하면서 일감이 거의 반토

www.edaily.co.kr

 

 

금융경제용어700선 026.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안녕하세요? 블루밍 경제 입니다. 오늘의 금융경제용어는 경기동향지수 또는 경기확산지수 입니다.낯설지만 함께 살펴봅시다.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

bloomingeconom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