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경제

경제금융용어 700선 033. 경영평가지표

반응형

경영평가지표
은행경영실태평가 시 이용하는 경영평가지표는 크게 계량지표와 비계량평가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계량지표는 은행 본점(특수은행 포함) 및 금융기관 현지법인에 대하여 4개 부문(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수익성, 유동성) 13개 지표를 이용하며, 외은지점 및 국내은행 국외지점에 대하여는 자산건전성부문 4개 지표를 이용하고 있다. 비계량평가항목의 경우 일반은행 본점 및 금융기관 현지법인에 대하여 6개 부문(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경영관리의 적정성, 수익성, 유동성, 리스크 관리) 29개 항목을 이용하며, 외국은행 국내지점 및 금융기관 국외지점에 대하여는 4개 부문(리스크 관리, 경영관리 및 내부통제, 법규준수, 자산건전성) 18개 지표를 이용하고 있다. 특수은행의 경우 6개부문(자본적정성,자산건전성, 법규준수, 위험관리, 수익성, 유동성) 25개 비계량 평가항목을 이용한다 .

 

출처: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교육 발간자료(상세) | 경제교육 | 업무별 정보 | 뉴스/자료 | 한국은행

  *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에 발간된 8쇄와 9쇄는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은 다음의 경로에서 e-book 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

www.bok.or.kr

 

은행 경영평가지표란?

은행이 얼마나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여러 기준을 의미한다. 은행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위험 관리 성장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은행의 경영평가지표는 주로 수익성, 안정성, 유동성, 건전성 등을 나타내는 비율로 나뉜다.

주요 은행 경영평가지표

  1. BIS 자기자본비율 (BIS Capital Adequacy Ratio)
    • 은행이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얼마나 충분한 자본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비율.
    • 예시: 은행이 어려운 상황이 닥쳐도 자본이 충분하면 안전하다는 걸 보여줌. 최소 8% 이상이어야 안전하다고 봄.
  2. 순이자마진 (NIM, Net Interest Margin)
    • 은행이 대출과 예금에서 벌어들인 이자 수익에서 비용을 뺀 후, 얼마나 이익을 남겼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 예시: 은행이 예금에서 적게 이자를 주고 대출에서 많이 이자를 받는 만큼 더 많은 이익을 남긴다.
  3. 자산건전성비율 (Asset Quality Ratio)
    • 은행이 대출한 돈 중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돈의 비율.
    • 예시: 대출해준 돈을 잘 회수하지 못하면 위험해진다. 그래서 부실 채권이 얼마나 많은지 보는 것이다.
  4. 대출금/예금 비율 (Loan-to-Deposit Ratio, LDR)
    • 은행이 예금 중 얼마를 대출로 내줬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 예시: 예금이 너무 많이 대출로 나가면, 갑자기 예금을 찾는 고객들에게 돌려줄 돈이 부족해질 수 있다. 그래서 적정 비율을 유지하는 게 중요.
  5. 유동성 비율 (Liquidity Ratio)
    • 은행이 단기적인 빚을 갚기 위해 충분한 현금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 예시: 고객들이 갑자기 돈을 찾으러 왔을 때, 은행이 얼마나 빨리 현금을 마련할 수 있는지 보는 것.
  6. ROA (총자산이익률, Return on Assets)
    • 은행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 이익을 냈는지 보여주는 비율.
    • 예시: 은행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잘 운영해서 이익을 많이 내면 이 비율이 높아진다.
  7. ROE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 은행의 자기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 이익을 냈는지 보여주는 비율.
    • 예시: 주주가 투자한 돈을 잘 굴려서 이익을 많이 내면 ROE가 높아진다.
  8. 부채비율 (Debt to Equity Ratio)
    • 은행이 빚과 자기 자본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빚이 많다는 의미.
    • 예시: 빚이 너무 많으면 위기에 처할 위험이 커지겠죠? 이 비율을 보고 은행의 재정 건전성을 판단.

왜 중요한가요?

  • 안정성 평가: 은행 경영평가지표를 통해 은행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 위험 관리: 은행이 어떤 위험에 처해 있는지 또는 얼마나 잘 대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투자자 및 감독기관: 투자자와 금융당국은 이 지표를 보고 은행이 건전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투자할 가치가 있는지 판단한다.

쉽게 말해, 은행 경영평가지표는 은행이 얼마나 건강한 상태인지 알려주는 숫자들이다. 이를 통해 은행의 재무 상태와 리스크 관리 능력을 평가하고, 안정적인 금융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https://www.newsfc.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689

 

'칼바람' 불었던 저축은행 3곳 중 2곳 '퇴출위기' 면할 듯 - 금융소비자뉴스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금융감독원의 경영실태평가를 받은 저축은행들의 적기시정조치가 유예돼 '퇴출' 위기를 면할 것으로 보인다. 부실채권을 대대적으로 정리에 나서면서, 최근 연체

www.newsfc.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