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경제

경제금융용어 700선 024. 겸업주의/전업주

반응형

 

겸업주의/전업주의
하나의 금융회사가 제공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의 종류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겸업주의(universal banking)와 전업주의
(specialized banking)로 구분된다. 겸업주의는 한 금융회사가 은행・증권・보험 등 여러 금융서비스를 취급할 수 있는 반면 전업주의는 은행・증권사・보험사 등이 각각 해당하는 고유의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겸업주의가 대세를 이루고 있으나 국가별로는 법적 형태면에서 차이가 있다. 독일, 네덜란드, 스위스 등 대부분의 유럽국가는 은행산업과 증권산업 간에 아무런 장벽을 두지 않고 하나의 은행이라는 법적 조직체 안에서 은행, 증권, 보험 등의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부겸업 시스템을 근간으로 한다. 반면에 영국 및 영연방국가, 현재의 미국에서는 은행이 자회사를 통해 증권이나 보험업무를 수행하는 외부겸업 시스템을 택하고 있다. 전업주의는 종전의 일본 및 미국의 경우처럼 은행산업과 여타 금융서비스 산업의 법적인 분리를 특징으로 한다. 우리나라는 과거에 전업주의를 채택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내부겸업을 확대하여 왔으며 2000년 「금융지주회사법」 제정으로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외부겸업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한편 국외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 중 하나로 금융회사의 과도한 금융겸업 확대가 지목되면서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 결과 미국은 은행부문의 헤지펀드 및 사모펀드 운영을 제한하는 볼커룰(Volcker Rule)을 도입하였으며, 영국은 예금・대출 위주의 소매은행으로부터 리스크가 높은 증권투자업무를 분리하는 ‘소매은행업 격리제도(ring-fenced bank)’를 마련하였다.

연관검색어 : 볼커룰

 

출처: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교육 발간자료(상세) | 경제교육 | 업무별 정보 | 뉴스/자료 | 한국은행

  *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에 발간된 8쇄와 9쇄는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은 다음의 경로에서 e-book 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

www.bok.or.kr

 

금융회사에서 겸업주의 전업주의는 주로 회사가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지,

아니면 특정 금융 서비스에 집중할지에 대한 전략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1. 겸업주의 (Universal banking)

금융회사에서 여러 금융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전략이다.

즉, 은행, 보험, 증권, 자산관리 등 다양한 금융 분야를 아우르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여러 서비스 간의 시너지를 창출하고, 각 부문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분산하는 것이 목표이다.

예시:

  • KB금융그룹과 같은 대형 금융지주회사는 대표적인 겸업주의 사례입니다. 이들은 은행업뿐만 아니라 증권, 보험, 자산운용, 리스 등 여러 금융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수익원을 확보하고 있다.

장점:

  • 리스크 분산: 다양한 금융 부문에서 수익을 창출해 특정 산업의 불황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 시너지 효과: 은행, 보험, 증권 등이 서로 협력하여 고객에게 종합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점:

  • 복잡한 경영: 각 금융 부문을 관리하고 조정하는 데 있어 복잡성이 증가할 수 있다.
  • 전문성 약화: 특정 금융 서비스에 깊이 집중하지 않으면, 개별 서비스에서의 경쟁력이 약해질 수 있다.

2. 전업주의 (Specialized banking)

금융회사에서 한 가지 금융 서비스에만 집중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은행업에만 집중하거나, 증권업 또는 보험업 등 한 분야에만 자원을 집중하는 방식이다. 이는 해당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성을 추구하고, 그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시:

  • 한국투자증권과 같은 회사는 주로 증권업에 집중하여 금융 상품 투자와 관련된 서비스에 전문성을 쌓는 전업주의 전략을 사용한다.

장점:

  • 전문성 강화: 특정 금융 서비스에서 최고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다.
  • 경영 효율성: 한 분야에 집중하므로 경영과 운영이 간단하고 효율적입다.

단점:

  • 리스크 집중: 특정 금융 산업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어, 해당 산업에 문제가 생기면 회사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수익원 제한: 다양한 수익원이 없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

금융회사의 겸업주의와 전업주의 비교 요약:

  • 겸업주의는 여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여 리스크를 분산하고 다양한 수익원을 확보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관리의 복잡성이 증가할 수 있다.
  • 전업주의는 특정 금융 분야에 집중하여 그 분야에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경영 효율성을 추구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특정 분야에 대한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

금융회사들은 이 두 전략을 고려하여, 자신들의 사업 모델과 시장 상황에 맞는 경영 방식을 선택합니다.

 
한걸음더!
 
 볼거룰
: 볼거룰(Volcker Rule)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은행의 위험한 투자를 제한하기 위해 도입된 미국의 금융 규제입니다. 이 규제는 당시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ed) 의장이었던 폴 볼커(Paul Volcker)의 이름을 따서 비롯되었으며, 2010년 도드-프랭크 월가 개혁 및 소비자 보호법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다.

볼커룰의 핵심 내용:

  1. 상업은행의 자기매매 금지: 은행이 고객 예금을 사용해 자기 자본으로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을 사고파는 자기매매(Prop Trading) 금지. 이는 은행이 고객의 자산을 이용해 지나치게 위험한 투자에 나서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규제이다.
  2. 헤지펀드 및 사모펀드 투자 제한: 은행은 헤지펀드나 사모펀드와 같은 고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나 지분 참여를 제한. 이러한 제한은 금융기관이 지나치게 투기적 성향을 띠는 펀드에 관여하여 손실을 입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3. 은행과 투자은행의 역할 구분 강화: 은행이 본래의 예금 및 대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투자은행처럼 고객 자금을 이용해 위험한 금융 투자를 하지 못하게 막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