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정자본소모 생산활동에는 공장, 기계설비 등 고정자본(시설)이 필요한데 이들은 생산활동 과정에서 마모되기 마련이다. 이처럼 생산에 이용된 기계 등 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고정자본소모(consumption of fixed capital)라고 한다. 따라서 일정 기간 중에 생산된 생산물의 순수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생산능력이 저하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즉 고정자본소모만큼 조정하여야 한다. 순생산액 = 총생산액 (산출액 - 중간투입액) - 고정자본소모 (순소득 ) (총소득) 자동차공장을 예를 들어보면 먼저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차체 등 각종 부품이 있어야 하며 또 각종 부품을 조립하는 기계가 있어야 한다. 자동차를 만들게 되면 부품도 소모되지만, 조립기계도 닳게 된다. 여기에서 총생산액은 산출액에서 부품구입액 등 중간투입액을 차감한 총부가가치를 말하고 순생산액은 총부가가치에서 고정자본소모를 뺀 순부가가치이다. 그런데 고정자본소모는 현 수준의 생산활동을 지속하기 위하여 언젠가는 지출될 부분이므로 이 공장의 측면에서 보면 총생산보다는 본래의 기계 가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로이 생산해 낸 부가가치 즉 순생산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연관검색어 : 총고정자본형성 |
고정자본소모란?
경제학에서 기업이나 국가 경제 내에서 사용되는 고정 자본의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정 자본은 건물, 기계, 장비 등과 같이 생산 활동에 장기간 사용되는 자산을 말한다. 이러한 자산은 시간이 지나면
마모되거나 기술적으로 낡아가며, 그 결과로 경제적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고정자본소모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다.
- 물리적 마모: 시간이 지나면서 기계나 장비가 실제로 닳고, 사용에 의해 고장 또는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 기술적 진부화: 기술 발전으로 인해 기존의 기계나 장비가 더 이상 효율적이지 않거나, 새로운 기술에 의해 대체되는 경우.
고정자본소모는 주로 감가상각(Depreciation)이라는 방식으로 회계에 반영되며, 이를 통해 기업은 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부분을 비용으로 처리합니다. 이는 세금 계산에도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순이익을 계산할 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경제적 의미
- 투자 필요성: 고정자본소모는 경제 내에서 새로운 투자 필요성을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마모되거나 진부화된 자본을 대체하기 위해 기업이나 정부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자본을 투입해야 한다.
- 경제 성장과 생산성: 고정자본소모가 발생하면 생산성도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투자가 필수적이다. 즉, 경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고정 자본의 투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고정자본소모는 기업이나 국가 경제가 장기적으로 생산성을 유지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반응형
'독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700선 52. 고통지수 (5) | 2024.10.28 |
---|---|
경제금융용어700선 51. 고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5) | 2024.10.27 |
경제금융용어700선 49. 고정이하여신비율 (7) | 2024.10.25 |
경제금융용어700선 48. 고정분류여신 (7) | 2024.10.24 |
경제금융용어 700선 047. 고정금리부채권(SB) (3)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