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분류여신 금융기관은 정기적으로 차주의 채무상환능력과 금융거래 내용 등을 감안하여 보유자산 의 건전성을 5단계(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분류하여 각각 그에 상응하는 적정 수준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하여야 한다. 고정분류여신은 차주 채무상환능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이 현재화되어 채권회수에 상당한 위험이 발생한 여신 또는 3개월 이상 연체하거나 부도가 발생한 차주의 여신 중 담보처분에 의한 회수예상가액 해당 여신을 말한다. 현행 「은행업 감독규정」에서는 고정분류여신에 대한 대손충당금은 기업 및 가계 모두 20% 이상 적용하여 적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 여신액 100억원 중 회수가능금액이 80억원일 경우 최소 16억원 이상 대손충당금으로 적립하여야 한다. 연관검색어 : 자산건전성 분류 |
출처: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교육 발간자료(상세) | 경제교육 | 업무별 정보 | 뉴스/자료 | 한국은행
*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에 발간된 8쇄와 9쇄는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은 다음의 경로에서 e-book 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
www.bok.or.kr
고정분류여신이란?
금융기관이 정기적으로 차주의 채무상환능력과 금융거래 내용 등을 감안하여 보유자산의 건전성을
5단계(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로 분류하여 각각 그에 상응하는 적정 수준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하여야 한다.
고정분류여신은 차주 채무상환능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이 현재화되어
채권회수에 상당한 위험이 발생한 여신 또는 3개월 이상 연체하거나 부도가 발생한 차주의 여신 중 담보처분에 의한
회수예상액 해당 여신을 말한다.
현행 「은행업 감독규정」에서는 고정분류여신에 대한 대손충당금은 기업 및 가계 모두 20% 이상 적용하여 적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 여신액 100억원 중 회수가능금액이 80억원일 경우 최소 16억원 이상 대손충당금으로
적립하여야 한다.
* 관련기사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18153/?sc=Naver
가계부채 규제로 '사장님 대출' 늘더니…리스크 관리 '발등에 불'
국내 은행들에서 나간 자영업자대출이 최근 석 달 동안에만 2조원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압박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조일 수밖에 없게 된 은행들이 기업을 상대로 한 영업으로 눈을 돌
www.dailian.co.kr
'독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700선 50. 고정자본소모 (4) | 2024.10.26 |
---|---|
경제금융용어700선 49. 고정이하여신비율 (7) | 2024.10.25 |
경제금융용어 700선 047. 고정금리부채권(SB) (3) | 2024.10.23 |
경제금융용어 700선 045. 고용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 (1) | 2024.10.22 |
경제금융용어 700선 044. 고용보조지표 (2)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