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경제

주식 포트폴리오 구성할 때 사용하는 도구들

반응형

어떤 종목이 좋은지 찾아보고 골라보는 연습을 했다면 추려낸 개별 종목 중에서 무엇을 얼마나 담아야 할지 고민할 차례이다. 지금까지 추려낸 후보 종목들의 성과를 한번 백테스팅 해봐야 한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내 포토폴리오에 담을 것인지, 얼마나 담을 것인지 결정한다. 다음은 포트폴리오 구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1.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 포트폴리오 고른 주식 백테스팅 해보기 좋은 사이트

Back test Portfolio

개별 기업의 연평균 수익률과 주가 상승률을 장기간에 걸쳐 보여줌(과거 10년)

Backtest Portfolio-Portfolio Model configuration-시뮬레이션

1) Time Period 기간

2) Year to Year(연도별), Month to Month(월별), Start Year(시작하는 해), End Year(끝나는 해)

3) Initial Amount (초기금액), Cash flows(추가적립금)

4) Contribute fixed amount(매번 같은 금액 인출하는 옵션)

   withdraw fixed amount(매번 같은 비율 인출하는 옵션)

5) Reinvest Dividends(배당금 재투자)

 

* S&P500지수(SPY) 

: 국제신용기관 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500개 종목의 주가를 기준으로 산출하여 작성하는 주가지수로, 

미국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주가 지수.

S&P500 지수 확인하면 개별종목의 성과가 S&P500 성과 즉 시장의 평균적인 성과보다 잘 나왔는지 비교해 볼 수 있다. 

수익률이 S&P500지수보다 높은 종목에만 투자

초고배당주는 S&P500지수보다 높지 않은 경우도 많다. 배당금에 더 집중하기 때문

배당성장주는 반드시 S&P500지수보다 성장률이 높아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