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경제

경제금융용어 700선 040. 계절변동조정시계

반응형

계절변동조정시계열
경제의 움직임은 주로 일, 주, 월, 분기 또는 연간 등 일정기간을 기준으로 통계를 수집하여 파악하는데 이를 시계열이라 한다. 대부분의 경제분석은 시계열의 수준보다는 변동을 대상으로 한다. 시계열의 변동요인은 크게 추세, 순환, 계절 및 불규칙 요인의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시계열에서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기후나 명절 등과 같은 사회적 관습은 매년 반복되는 특성이 있는데 이를 계절변동요인이라 한다. 이러한 계절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기간별로 시계열의 증감을 비교하면 올바른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데 오류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전월 또는 전분기 대비 증감은 계절변동을 조정하지 않고 계산하면 많은 왜곡이 있게 된다. 계절변동조정시계열은 원래의 시계열에서 계절요인을 여러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제거한 것을 말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예측 가능한 불규칙요인도 함께 제거한다. 한편 계절변동요인은 연간단위로 나타나므로 연간시계열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전년동기대비는 각 기간의 계절변동요인이 같다고 판단하여 원래의 시계열을 이용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설이나 추석 등은 음력을 사용함에 따라 양력을 기준으로 한 계절성이 특이하게 나타나는 측면도 있어 계절변동조정을 하는데 있어 고려할 사항이 더 많다.

연관검색어 : 경제성장률

 

출처: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교육 발간자료(상세) | 경제교육 | 업무별 정보 | 뉴스/자료 | 한국은행

  *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에 발간된 8쇄와 9쇄는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은 다음의 경로에서 e-book 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

www.bok.or.kr

 

계절변동조정시계열이란?

특정 데이터에서 계절적인 요인(예: 계절에 따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을 제거한 후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판매량은 여름에 증가하고 겨울에는 감소하는 계절적 패턴이 있다.

이렇게 계절적인 영향을 고려하지 않으면, 실제 판매 추세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계절변동조정을 통해 이러한 계절적 영향을 제거하고,

데이터의 본질적인 추세나 변화를 더욱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조정은 경제 데이터(예: 실업률, 소비자 물가지수 등)를 분석할 때 유용하며,

연중 어떤 시점에 경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관련기사:
https://www.updow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649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