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경제
경제금융용어700선 49. 고정이하여신비율
러브레터book
2024. 10. 25. 06:00
반응형
고정이하여신비율 은행은 보유하고 있는 여신을 자산건전성에 따라 5단계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 . 즉 자산건전성이 가장 양호한 상태인 정상에서부터 회수가 어려운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으로 분류한다. 이중 고정, 회수의문, 및 추정손실로 분류된 여신의 합계액을 총여신으로 나눈 비율을 고정이하여신비율이라고 한다 . 연관검색어 : 고정분류여신, 회수의문, 추정손실 |
출처: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교육 발간자료(상세) | 경제교육 | 업무별 정보 | 뉴스/자료 | 한국은행
*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에 발간된 8쇄와 9쇄는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은 다음의 경로에서 e-book 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
www.bok.or.kr
고정이하여신비율이란?
은행이나 금융기관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대출의 질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비율은 은행이 대출한 금액 중에서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고정 이하의 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고정 이하 여신'은 다음과 같이 대출의 상태에 따라 분류된다.
- 정상(일반) 여신: 원리금 상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대출.
- 요주의 여신: 상환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는 대출.
- 고정 여신: 상환이 지연되었거나 상환 능력에 문제가 생겨 회수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출.
- 회수 의문 여신: 대출금을 회수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은 대출.
- 추정 손실 여신: 사실상 회수 불가능한 대출.
고정, 회수 의문, 추정 손실 여신을 모두 합쳐서 '고정 이하 여신'이라고 한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 고정이하여신/전체여신 × 100
즉, 전체 대출 중에서 고정 이하 상태에 있는 대출금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의 자산 건전성이 나쁘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출 회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의 중요성
- 금융기관의 건전성: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금융기관의 자산 상태와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비율이 높으면 은행이 부실 대출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금융기관의 경영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 리스크 관리: 금융기관은 이 비율을 관리함으로써 대출 리스크를 줄이고, 이를 통해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려 합니다.
- 감독 당국의 규제: 금융감독기관은 이 비율을 중요한 관리 지표로 삼아 금융기관의 대출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 시 추가 자본을 쌓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 비율을 낮게 유지하는 것이 은행의 안정적 운영에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반응형